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 경기도 어린이 청소년 교통비 신청 지원 받는 방법

by 바얀V 2025. 2. 28.

    [ 목차 ]

경기도에서는 어린이와 청소년들의 교통비 부담을 완화하고 대중교통 이용을 활성화하기 위해 어린이·청소년 교통비 지원 사업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본 사업을 통해 수도권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6~18세 어린이·청소년들은 일정 금액의 교통비를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2025년부터 지원 방식이 변경되어 지역화폐로만 지급된다는 점에서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본 포스팅에서는 사업의 지원 대상, 지원 기준, 신청 방법 등을 상세히 안내해드리겠습니다.

지원 대상

신청일 기준 주민등록상 주소지가 경기도인 6~18세 어린이·청소년이라면 누구나 신청할 수 있습니다. 대리인을 통한 신청도 가능하므로 보호자가 대신 신청할 수 있습니다.

 

단, 시외(고속)버스, KTX, SRT 등 별도로 발권이 필요한 교통수단은 지원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지원 금액

분기별 6만 원 (연 최대 24만 원 한도)

지원금은 지역화폐로 지급되며, 이를 통해 일부 대중교통 이용료를 환급받거나 공유자전거 이용 시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신청 방법

경기도 어린이·청소년 교통비 지원금을 신청하려면 다음의 사전 준비사항을 갖춰야 합니다.

 

1. 사전 준비사항

대중교통 이용이 가능한 어린이·청소년 명의의 교통카드

어린이·청소년 혹은 대리인 명의의 지역화폐

 

경기지역화폐 바로가기 

 

거주지 확인을 위한 인증서(간편/금융/공동 인증서)

2. 신청 절차

경기도 어린이·청소년 교통비 지원 포털 접속

 

경기도 어린이·청소년 교통비 지원 신청 바로가기 

 

지원 대상자의 교통카드 및 지역화폐 정보 입력

거주지 인증 완료 후 신청

 

지원금 지급 확인

신청 전 반드시 거주지 인증을 완료해야 합니다! 신규 신청자는 회원가입 시 최초 거주지 인증을 해야 하며, 기존 신청자는 매년 1분기마다 거주지 재인증을 해야 합니다.

  • 거주지 인증이 완료된 분기부터 지원금 지급\
  • 지원금 지급 전에 회원 탈퇴(자녀 삭제 포함)하면 교통비 지원 불가
  • 지원 관련 문의는 지원사업 콜센터를 통해 상담 가능

지원 범위

1. 대중교통 이용 요금 환급

사용한 대중교통 요금을 확인 후, 지원금으로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

 

2. 공유자전거(똑타) 이용 할인

똑타 앱을 이용해 공유자전거 요금을 결제하면 1,000원 즉시 할인이 적용됩니다.

하지만, 올해부터 지원금이 현금이 아닌 지역화폐로만 지급되면서, 실질적인 교통비 절감 효과가 낮아졌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습니다.

지원 기준

본 사업은 수도권 모든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어린이·청소년에게 교통비를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지원 대상이 되는 대중교통 수단은 다음과 같습니다.

  • 경기·서울·인천 버스
  • 지하철
  • 신분당선
  • 광역버스
  • GTX

지원금 지급 방식 변경 논란

2025년부터 경기도는 어린이·청소년 교통비 지원금을 현금이 아닌 지역화폐로만 지급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이는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조치라고 설명했지만, 지원 본래의 취지와 맞지 않는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과거에는 이용자가 현금과 지역화폐 중 선택할 수 있었으나, 이제는 무조건 지역화폐로 지급받아야 합니다. 특히 교통비 결제가 불가능한 지역화폐로 지급되기 때문에, 해당 지원금을 교통비로 직접 사용할 수 없어 불편이 크다는 문제가 있습니다.

 

1) 지역화폐 카드에 교통카드 기능을 추가할 수 있는 지역: 파주, 의정부, 고양, 남양주, 안양, 시흥 등 9개 시
2) 하지만, 교통카드 충전금과 지역화폐 충전금은 별도로 관리되어 실질적인 사용이 어렵다는 점이 문제로 지적됨
3) 도는 지역화폐를 이용해 대중교통을 직접 결제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 중이나, 새로운 플랫폼 개발이 필요해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됨

연도별 지원 현황

경기도 어린이·청소년 교통비 지원 사업은 해마다 많은 이용자가 신청하는 대표적인 복지 정책 중 하나입니다.

  • 2020년: 41만 명 지원 (총 322억 원 지급, 1인 평균 7.8만 원)
  • 2021년: 51만 명 지원 (총 436억 원 지급, 1인 평균 8.5만 원)
  • 2022년: 58만 명 지원 (총 509억 원 지급, 1인 평균 8.7만 원)
  • 2023년: 60만 명 지원 (총 518억 원 지급, 1인 평균 8.6만 원)

매년 지원 대상자가 증가하는 만큼, 정책 개선이 필요한 부분도 많아지고 있습니다. 특히 2025년부터 지역화폐 지급으로 변경된 점은 이용자의 불편을 초래할 수 있어 앞으로의 정책 변화를 주목해야 할 것입니다.

 

결론

경기도 어린이·청소년 교통비 지원 사업은 대중교통 이용을 장려하고 경제적 부담을 줄이기 위한 중요한 정책입니다. 하지만 올해부터 지원금이 지역화폐로만 지급되면서 기존의 편리함이 다소 사라졌다는 점이 아쉬운 부분입니다. 향후 지역화폐를 이용한 직접 교통비 결제 시스템이 마련된다면 보다 효과적인 지원 정책으로 자리 잡을 것으로 기대됩니다.